쉬운 목차
Toggle물가상승률 정부 물가 관리 이야기 📖
안녕하세요, 여러분! 위키슈입니다. 최근에는 공무원 중에서도 ‘빵 담당’, ‘우유 담당’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나요? 마치 소꿉 놀이를 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 이들은 물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1 전담으로 투입된 인물들입니다.
위키슈와 함께 살펴보는 대한민국의 물가 폭등 현상! ‘빵담당자’와 ‘우유 담당자’의 독특한 역할부터 정부의 1:1 관리 전략까지, 특별물가안정체계에 대해 살펴 보세요. 역사적 배경, 정부의 개입, 소비자물가지수의 중요성까지 파헤치며 경제 지형을 이해하세요. 최신 전략으로 물가 폭등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살펴봅니다.
한국 물가상승률 🍞
최근 물가가 상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다고 할 정도로, 가공식품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대비 7% 이상 상승했습니다. 우유와 아이스크림은 1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으며, 빵의 경우 2년 전보다 약 22% 비싸졌습니다. 농축산물도 대부분의 품목이 2년 전보다 10~20% 상승한 가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과, 생강, 배추 등의 가격은 60% 이상 올랐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특별물가안정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특별물가안정체계 🍦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각 품목의 가격과 수급 현황을 1:1로 관리하는 특별물가안정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수급상황실을 운영하여 주요 28개 농식품의 물가를 철저히 관리할 예정입니다. 빵 담당자가 빵 가격을 매일 보고하는 등 각 품목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진행될 것입니다. 해양수산부는 물가안정대응반을 구성하여 대표 수산물 7종의 가격과 재고를 주 1~2회 직접 마트와 시장을 돌며 체크하고, 매일 차관에게 상황을 보고할 예정입니다. 또한 기획재정부에서는 각 부처가 관리하는 품목에 대한 물가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정부 물가 대책 🥛
정부는 물가 상승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며, 기업들이 가격을 함께 올리는 일(담합)을 막기 위한 기대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일이 막는 식으로는 소용 없다. 올리지 말라고 해도 원가 부담을 이기지 못하면 결국 가격을 올리게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기업을 압박하는 것은 권위주의적이며 시장 질서를 어지럽힐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공무원들에게 과도한 부담이 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 인플레이션 📈
이러한 물가 관리는 처음이 아닙니다. 1970년대의 오일 쇼크 당시 박정희 정부는 품목 가격을 직접 관리하였고, 2012년 이명박 정부는 ‘물가관리책임실명제’를 도입하여 1급 공무원들이 특정 품목의 가격을 전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큰 효과를 보지 못했으며, 오히려 오일 쇼크 당시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인플레이션은 높았으며, 이명박 정부가 관리하던 품목의 물가는 평균보다 높게 올랐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한국 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느 나라에서나 가장 기본적인 경제지표 중 하나입니다. 소비자의 실제 생활 수준을 가늠하며, 실제 경기 상태와 가계의 소비 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며, 각종 재정, 경제 정책 결정의 기준이 됩니다. 또한 금융시장에서 화폐의 구매력 변화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3년 11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3.80%로 ‘시장 영향력이 매우 높음’ 수준입니다. 이는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통계청에서 작성되고 있습니다. 조사대상 상품 및 서비스의 구성과 가중치는 경제 상황에 따라 주기적으로 조정되고 있습니다.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사전 바로가기